유틸메뉴

  • 처음으로
  • 로그인
  • 회원가입
  • 인트라넷
  • 사이트맵

장례정보

  • 제례정보
  • 상례정보
  • 장례정보
  • 관련상식

장례정보

HOME > 장례정보 > 장례정보
유교식 장례
작성자: 관리자 2013-03-22 14:55:04 | 1,057
1. 산육의례(産育儀禮)   산육의례(産育儀禮)는 아들을 낳아 집안의 대(代)를 잇게 해 주어야만 했던 여인들의 염원에서 민속으로 많이 발달하였다. 가계(家系) 계승자를 얻는 것이 중요한 효도의 한가지였던 조선시대에 있어서 여인은 아들을 낳아야만 후손의 도리를 다하는 것으로 알았다. 심지어 남아를 출산하지 못하는 여인은 이른바 칠거지악(七去之惡)의 한 가지에 들어 시집에서 쫓겨나기 일쑤였다. 따라서 우리 조상들은 일찍부터 아기를 점지해 주는 것은 어떤 신비스러운 힘이거나 또는 남에게 좋은 일을 하여 공덕을 쌓은 결과라고 했다. 그리고 그 힘은 삼신할머니 같은 신(神)이라고 믿기도 하고, 험상 굳고 묘하게 생긴 바위일수록 영험이 있다고 생각했다. 이렇게 해서 아기가 태어나면 대문에는 금줄(또는 인중)을 걸어 다른 사람들의 출입을 제한한다. 남아인 경우에는 줄에 붉은 고추와 숯덩이를 끼워두며, 여아는 솔잎, 종이 따위를 달아둔다. 21일쯤 되어 친척들에게 출입을 허용하기 시작하여 100일에는 잔치를 베풀어 비로소 이웃에 보인다. 백일잔치는 아침에 오랫동안 삼신상(三神床)을 차린다. 백일상에는 특히 아기의 장수와 복을 비는 뜻으로 흰 실타래와 쌀이 놓여진다. 아기가 출생하여 꼭 1년이 되는 첫 생일날을 '돌'이라고 하여 빈부귀천이나 도시와 시골지역의 차이없이 돌잔치를 해준다. '돌'이라는 말은 아기의 나이를 표시하는 말로도 쓰이는데, 이후 태어난 날을 생일이라고 하여 흰쌀밥에 미역국을 조반으로 드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다. 2. 장례절차   1) 초종:1일째   ㆍ초종이라함은 돌아가시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ㆍ군자의 죽음을 終 소인의 죽음을 死 라 하였다.     ① 속굉 - 솜을 코에얹어 숨이 있는 가를 확인하는 절차로 절명하면 곡을 어지러이 한다. ② 복또는 초혼 - 북망산천으로 가는 혼을 부르는 절차 ③ 천시 - 시신을 시상에 옮겨뉘는 절차 ④ 입상주 선임 - 상례를 진행할 사람의 역할분담을 정한다 ⑤ 역복불식 - 옷을 바꾸어 입고 음식을 먹지 않는다 ⑥ 시사전 - 전을 차려 제사를 올리고 ,혼을 위해 간단한 음식을 차려 놓는다 ⑦ 치관 - 관을 준비한다.   ㆍ부고를 보내 상을 알린다     * 사자밥을 차린다. 사자밥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복을 한후에 소반이나 키에 밥 세 접시, 동전세닢, 짚신 3켤레를 담아 대문간에 놓은 것으로 저승사자를 위한 대접상이다   2) 습   ㆍ시신을 깨끗이 씻기고 수의를 입히며 ,반함하는 절차로서 시신을 정화하는 절차이다     ① 습의를 준비해둔다 ② 시신을 목욕 시킨다 ③ 수의를 입힌다 ④ 습전을 차린다 ⑤ 반함을 한다 ⑥ 마당에 화톳불을 피운다 ⑦ 영 좌를 설치하고 혼백을 만들어 모신다 ⑧ 명정을 만들어 세운다.   3) 소렴(2일째)   ㆍ운명 다음날에 하는 일로서 시신을 베로싸서 묶어 입관할수 있도록 준비하는 절차이다.     ①소렴할 옷과 이불을 진설하여 소렴을 준비한다 ② 기타 필요한 것을 갖춘다 ③ 습전을 옮겨놓고 소렴을 한다 ④ 소렴상을 놓고 소렴을 한다 ⑤ 상주들이 곡을한다 ⑥ 소렴변복을 한다 ⑦ 전을 올려 소렴을 마친다   4) 대렴(3일째)   ㆍ소렴에서 싸서 묶은 시신을 입관하는 절차로 일반적으로 입관이라고 하는 절차를 포함하고 있다. ㆍ3일째에 대렴을 하는 것은 혹시 살아나기를 기다리는 효성 때문이라고 한다.     ① 대렴에 필요한 물건을 준비한다 ② 관을 들여와 대렴한다   5) 성복(4일째)   ㆍ망자와의 친등 관계에 따라 오복의 제도에 맞추어 상주들이 복을 입는 것을 말한다.     ① 오복제도에 따라 상복을 입는다 ② 성복전을 올린다 (성복제라고도 함) ③ 조석전을 올리고 상식을 한다 ④ 매일 곡이 끊히지 않게 한다 ⑤ 삭망전을 올리고 새로운 물건이 들어오면 올린다 ⑥ 비로서 죽을 먹는다   6) 문상   ㆍ상주가 멀리서 부고를 들었을때 하는 행위와 해야 하는 일   7) 치장   ㆍ장사할 장소와 시간을 정하는 절차이다.     ① 묘터를 잡고 묘역을 만든다 ② 광중을 파고 회격을 한다. ③ 지석을 새긴다 ④ 상여와 삽을 만든다 ⑤ 신주를 만든다   8) 천구   ㆍ발인 하루전부터 발인하기위해 영구를 옮기고 조상에게 인사하는 모든 절차 들이다.     ① 관을 옮긴다 ② 영구를 모시고 조상을 뵙는다 ③ 영구를 청사로 옮긴다 ④ 발인에 필요한 기물을 준비한다 ⑤ 조전을 차린다 ⑥ 영구를 상여에 싣는다   9) 발인   ㆍ관을 상여에 싣고 장지로 운반하는 행사의 절차이다   10) 급묘   ㆍ영구가 장지에 도착하여 하는 일로서 장사를 지내기 위한 일이다.요즘에도 행하고있는 절차와 차이가 없다 우리 전통의 상 장례의 절차는 보통 5일장으로 치뤄 졌으나 현대사회는 교통의 발달과 사회의 다변화로 보통 3일장으로 간소화함과 전통의 절차 보다는 편리함의 위주로장례를 치르고 있으며 옛 전통례는 발인시 꽃 상여를 만들어 마지막 가시는 길을 떠났으나 현재는 버스문화로 바뀌어 사자위에 걸터 앉아가는 잘못된 문화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나 인식있는 사람은 영구차를 별도로 사용하고 있다
다음글
이전글
목록